본문 바로가기
  • Saeong's story
Adobe Tutorials & Tips/애프터이펙트 After Effects

폼 Form을 배워보자

by 새옹. 2022. 5. 12.

애프터이펙트 폼 | After Effects Form

 

Solid에 Form을 적용하면 나타나는 기본 형태

 

Trapcode의 폼Form은 파티큘러Particular에서 파생되어 나온 이펙트입니다.

 

이번 글에는 Form의 옵션들을 정리했습니다.

파티큘러를 배우고 오시면 더 쉽게 폼을 배우실 수 있습니다.


[Form]


Base Form

Base Form
 ‣Box-grid 점 박스
 ‣Box-string 선박스
 ‣sphere-layered : 점 구
 ‣OBJ Modeling : 3D 모델링을 점으로 형상화 
(단 이 옵션은 한 번 적용하면 죽는 옵션이 생기니 이펙트 지웠다 다시 적용해야 함.)
particles in Z : 1 보통 1장만 둠.

 



Particle
파티큘러Particular의 파티클Particle 부분이랑 동일함.

•Life: 입자 지속 시간

 

•Life Random: Life 수치를 기준으로, 최대 몇 %가 랜덤한 수치를 가질지

 

•particle type: 입자의 모양

  *(NO DOF)라고 적힌 것은 카메라 뎁스 적용이 안되는 옵션 ‣Sphere : 구 모양
 ‣Glow Sphere(NO DOF) : 빛나는 구 모양
 ‣Star(NO DOF) : 빛나는 별 모양
 ‣Cloudlet : Size 키우고 Opacity 낮춰서 연기 만들 때 사용
 ‣Streaklet : 입자 하나에 여러개의 부수적인 입자 포함됨. 라인 만들 때, 특히 2개 이상의 라인(Streakline)을 만들 때 사용하는 옵션
 ‣Stripe, Textured Polygon : 입자 모양을 커스텀 해주고 싶을 때 쓰는 옵션

 ‣Sprite Colorize : 입자에 색 톤 지정 가능(사진이 입자면 포토필터 씌운듯 변경)
 ‣Sprite Fill : 입자에 색을 채움.(사진이 입자면 그냥 색으로 덮어서 단색이 되어버림)
스프라이트 등에서 레이어 300x300이상으로 쓰면 오류날 확률이 높아지니 그 이하로 줄이기.

•Set Color
 ‣At Start : 계속 지정 컬러로
 ‣Over Life : 아래 옵션 중에 Color Over Life(신버전:Color Gradient)에서 그라디언트로 파티클 탄생부터 죽을 때 까지 컬러 지정 가능(시간에 따른 컬러 변화)
 ‣Random From Gradient : 아래 옵션인 Color Over Life에서 만든 랜덤한 컬러가 각 입자마다 따로따로 적용 된다.(입자마다 다른 컬러)
 ‣Transfer mode

  *최신버전 : Blending mode

•Rotation
 ‣Orient to Motion : 모션 방향에 따라 입자의 방향을 정할 것인가? (Motion Path 떠올리면 된다)
 ‣Random Rotation: 불규칙한 회전값. 자주사용하는 수치
 ‣Rotation Speed: 돌아가는 속도.

•Size
 ‣Size over life : 시간에 따른 사이즈 크기의 변화. 그래프로 조정가능하다.
  *그래프 모양은 리셋 버튼 눌러도 리셋이 안된다.

 




shading

파티큘러의 쉐이딩과 동일함.

Shadowlet for Main Off/On 했을 시 차이

Shading On : Point Light 레이어 만들면 입자에 명암효과 생김
 ‣Shadowlet for Main On : 라이팅 없어도 명암 효과가 생긴다.
  *위 두 옵션들은 동시에 사용하면 안 된다

 

 

 


•disperse and twist

기본 / disperse / twist

•disperse : 폼의 파티클을 퍼뜨림.(거리제어)
•twist : 폼의 파티클을 꼰다.

 


Fractal Field
(Particular의 Turbulence와 비슷한 옵션)
 ‣Affect Size : 파티클입자 크기의 랜덤한 변화
 ‣Affect Opacity : 파티클 투명도 랜덤한 변화
 ‣Displace : 난기류 생성
 ‣Flow X, Y, Z : 바람 부는 방향과 세기
 ‣Flow evolution : 풍속
 ‣F scale : 난기류 복잡한 정도

Sphereical Field
무형의 구체를 피해서 Particle의 모양이 형성된다.

Kaleidospace
Mirror Mode (만화경 효과)
Stilize > CC Kaleida로 에펙 내에서 직접 만화경 효과를 줄 수 있음.

Audio React
오디오 값에 따라 폼의 파티클이 변형됨

Layer Maps
:Luminance Map과 비슷함.
레이어 맵에서는 다른 맵용 레이어를 선택해서 효과 적용.
Color and Alpha
색깔에 따라
 ‣Layer : Logo Map
 ‣Functionality
 ‣Map over : XY
Dicplacement 
밝기 차이에 따라
 ‣Functionality
 ‣Map Over
 ‣Layer for XYZ
Fractal Strength
프랙탈 값을 아래에서 먹여야 효과 적용 가능
Disperce
퍼진다
Rotate
회전

댓글